|
제목
문학
악령들
저 자표도르 도스토옙스키
ISBN979-11-7036-068-1
출간일2022-07-31
페이지612
가 격19,800원
정치와 종교를
아우르는 도스토옙스키의 장편 소설
허무주의,
무신론을 쫓는 러시아 인텔리들을 향한 작가의 비판
『악령들』은 19세기 러시아 사회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잡지 『러시아 소식』에 연재되었다. 『악령들』은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 『카라마조프 형제들』만큼이나 작품의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869년 당시 해외에 머물던 도스토옙스키는 네차예프 사건을 접하고, 이를 바탕으로 『악령들』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처음에 작가는 무정부주의자들을
비판하기 위해 글을 쓰......
|
|
제1부
I. 내 친구
스테판 베르호벤스키
II. 내 친구의 찬란한 과거
III. 내 친구의 이상한 우정
IV. ‘해리 왕자’ 니콜라이 스타브로긴
V. 뜻밖의 혼담
VI. 수수께끼 샤토프
VII. 내 친구 스테판 베르호벤스키의 고뇌
VIII. 리자의 야심찬 계획
IX. 지켜야만 했던 약속
X. 슬픈 광대 레뱌드킨
XI. 운명적인, 너무나 운명적인 재회
XII. 샤토프의 따귀
제2부
I. 아버지와 아들
II. 니콜라이 스타브로긴의 야심찬 외출
III. 니콜라이 스타브로긴의 은밀한 계획
IV. ‘참칭자’가 되어버린 니콜라이 스타브로긴
V. 니콜라이 스타브로긴과 다리야의 만남
VI. 니콜라이 스타브로긴, 사교계의 주목을 받다
VII. 아버지와 아들의 뜨거운 논쟁
VIII. 성가신 일에 빠진 표트르 스테파노비치
IX. 표트르 스테파노비치의 계략
X. 이반 왕자
XI. 차압당한 스테판 베르호벤스키
제3부
I. 축제의 시작
II. 축제의 종말
III. 끝나버린 로맨스
IV. 최종 결정
V. 방랑하는 여인
VI. 새 생명의 탄생
VII. 악령들의 살인
VIII. 악령들의 최후
IX. 스테판 베르호벤스키의 마지막 방랑
X. 니콜라이 스타브로긴의 최후
작품 해설
작가의 삶과 작품세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연보
옮긴이 소개
정치와 종교를
아우르는 도스토옙스키의 장편 소설
허무주의,
무신론을 쫓는 러시아 인텔리들을 향한 작가의 비판
『악령들』은 19세기 러시아 사회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잡지 『러시아 소식』에 연재되었다. 『악령들』은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 『카라마조프 형제들』만큼이나 작품의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869년 당시 해외에 머물던 도스토옙스키는 네차예프 사건을 접하고, 이를 바탕으로 『악령들』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처음에 작가는 무정부주의자들을
비판하기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지만, 그는 자신이 그간 가지고 있던 신과 종교의 문제를 함께 연결시키며 작품의 영역을 더욱 확장시켰다. 그리고
도스토옙스키는 당시 젊은이들의 다양한 인간 군상을 보여주며, 『악령들』을 무겁기만 한 정치소설, 사상소설이 아닌 심리∙범죄드라마, 미스터리 사회소설로
이끌었다. 3부로 구성된 『악령들』을 통해 도스토옙스키가 정치적, 철학적, 윤리적, 종교적 문제의식을 어떻게 풀어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가볍게 읽는 도스토옙스키의 5대 걸작선 시리즈는 도스토옙스키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작가의 5대 장편 소설인 『죄와 벌』, 『백치』, 『악령들』, 『미성년』, 『카라마조프 형제들』을 독자들이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시리즈이다. 완역본은
많은 문학 연구자들에 의해 출간되었고 작품의 방대한 분량으로 일반 독자들이 접하기 어려워하기에 엄선된 문장으로 이해를 도우며 접근성을 높이는 축약본
시리즈를 기획했다.
지은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1821년 군의관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를 여의고 난 후, 16살 때 페테르부르크의 공병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학교에서 문학모임을 만들고 번역 작업을 하면서 첫 번째 소설인 『가난한 사람들』(1845)을 썼다. 1849년 러시아 정교를 비판한 『벨린스키의 고골에게
보낸 편지』를 낭독한 이유로 체포되었으며 군사법원은 사형을 선고했다. 총살직전 니콜라이 1세의 특사로 징역형으로 감형되어 시베리아에서 유배생활을 보냈다. 4년간의
감옥생활과 4년간의 유형생활 후, 도스토옙스키의 세계관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온 도스토옙스키는 『죽음의 집의 기록』(1861)에 그간의 체험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도스토옙스키는 룰렛
도박에 빠져 생긴 빚과 갑작스러운 형의 죽음으로 인한 빚, 그리고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게 되어 생활고에
시달렸다. 출판사와의 노예 계약 때문에 소설 『죄와 벌』(1866)의
저작권마저 잃을 위기에 처하지만, 속기사 안나 스니트키나를 만나 기일안에 『도박자』(1866)을 완성해 저작권을 지키게 된다. 이후 그는 안나와 결혼해
해외로 떠나 『백치』(1869)의 작업을 마쳤다. 1870년부터
1880년까지 그는 『악령』(1871)과 『미성년』(1875), 『카라마조프의 형제들』(1879)을 출간하며 더없는 성공을
거뒀다. 러시아의 위대한 작가로 평가받는 도스토옙스키는 유산문제로 인한 여동생과의 다툼으로 병이 악화되었고, 1881년 1월 사망했다.
옮긴이 – 조혜경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 취득 후 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 관련 연구를 하면서 현재 대구대학교 성산교양대학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도스토옙스키 소설에 나타난 리터러시와 비블리오테라피』(써네스트,
2012), 『똘스또이, 시각을 탐하다』(뿌쉬낀하우스, 2013), 역서로는 『지하로부터의 수기』(웅진 클래식 코리아, 2009), 『허접한 악마』(창작과 비평사, 2013), 『남의 아내와 침대 밑 남편-도스토옙스키 중단편집』(뿌쉬낀하우스, 2020), 주요 논문으로는 “도스토옙스키 종교 철학에
나타난 러시아 분리파의 문제 연구:『죄와 벌』을 중심으로”, “도스토옙스키
『도박자』 연구:공간의 의미와 룰렛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공감의
두 양상: 『백치』와 『부활』을 중심으로”, “영혼 구원을
위한 공감: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 나타난 드미트리의 운명을 중심으로”외 러시아 문학 관련 다수의
논문이 있다.
|
|